![]() |
||||||||||||
|
||||||||||||
![]() |
||||||||||||
- 광주 제조기반기술산업 활성화 및 창업, 타지역기업유치, 업종다각화 등을 통한 신규 일자리 창출 - 친환경·자동화 생산설비 개선으로 3D 산업 이미지 탈피를 통한 신규인력 공급 활성화 - R&D 전문인력 및 기술전문인력 증대 - 직접적 기여 고용창출 약 100여명 기대(사업종료시까지) - 간접적 고용창출 약 550여명 기대 |
||||||||||||
![]() |
||||||||||||
- 광주 제조기반기술산업 마케팅 활성화 및 글로벌 진출 기회 확대 등을 통한 매출 및 수출 증대 - 직접적 기여 매출증대 약 64억원 기대(사업종료시까지) - 간접적 매출증대 약 700억원 기대 |
||||||||||||
![]() |
||||||||||||
- 광주 제조기반기술산업 활성화의 파급효과로 전략산업, 지역주력산업 등 타산업 분야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를 통한 광주 총생산 증대에 기여 - 광주광역시 총생산(GRDP) 29조 6천억(통계청(2013)) * 제조업 7조 8천억 * 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 제조업, 전기 전자 및 정밀기기 제조업 2조 9천억 |
||||||||||||
![]() |
||||||||||||
- 기업지원 네트워킹 및 산학연 연계협력 클러스터 구축을 통한 신사업, 전략산업, 미래융합산업에 원활한 지원체제 마련 - 원자재부터 부품·소재, 완제품까지 생산하는 산업구조 생태계형성을 통한 미래 생산거점 도시 구축 - 기자재·시설·장비·인력 등의 인프라 구축을 통한 R&D 활성화 및 생산성 향상 - 제품의 시험, 평가, 분석, 인증, 표준화의 노하우 축적에 의한 기술경쟁력 및 마케팅 강화 - 일본, 중국으로부터의 제조기반기술 제품의 수입대체 효과 - "광주뿌리산업진흥회" 설립으로 지역 산업 및 경제 활성화 |
||||||||||||
![](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