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) |
![]() |
뿌리산업은 완제품의 부가가치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, 원천기술 및 신기술 개발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 |
- 국가 경제의 기초 산업으로 최종 완제품의 성능과 품질, 가격경쟁력을 결정하는 산업 - 제조업의 뿌리와 허리가 되는 산업으로, 전세계적으로 완제품 생산 능력이 평준화(平準化)되고 있어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 |
![]() |
![]() |
출처:<대한민국 산업·기술 비전 2020>, 지식경제부 |
![]() |
![]() |
정부는 국가 제조업의 근간이 되는 뿌리산업이 첨단산업과 동반성장하는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2012년「제1차 뿌리산업 진흥 기본계획(2013~2017년)」을 수립하였으며, 2013년부터 이를 시행하고 있음 |
< 최신스마트폰에 적용된 다양한 뿌리산업 기술> |
![]() |
(출처 : 산업연구원 「e-KIET산업경제정보 제 575호-미래산업의 열쇠,뿌리산업」(2013.12)) |
- 뿌리산업은 다양한 기술뿐 아니라 서비스와도 결합하여 제품 차별화에 기여하는 다른 의미의 "첨단기술" (예) 애플은 독자적인 금형기술인 Unibody공법을 통해 자사 제품의 디자인 혁신달성 |